Surprise Me!

[뉴스포커스] 국민의힘 일단 '직무대행체제'로…이준석 '반격' 카드는?

2022-07-12 10 Dailymotion

[뉴스포커스] 국민의힘 일단 '직무대행체제'로…이준석 '반격' 카드는?<br /><br /><br />국민의힘이 '권성동 직무대행 체제'로 내홍 봉합 수순에 들어간 가운데, 이준석 대표는 잠행 사흘 만에 SNS에 당원 가입 독려 글을 남겼습니다.<br /><br />곧 반격 카드를 내놓을지 주목됩니다.<br /><br />윤석열 대통령의 '도어스테핑 중단'을 두고 민주당이 공세를 강화하고 있는데요.<br /><br />관련 내용 포함한 정치권 이슈, 서성교 건국대 특임교수, 유용화 한국외대 초빙교수와 함께 짚어봅니다.<br /><br />어서 오세요.<br /><br /> 국민의힘이 의총을 열고 '권성동 직무대행 체제'를 추인하고 결의문을 채택했습니다. 내홍 수습에 들어간 모양샌데, 기대 대로 조용히 당 내홍이 수면 아래로 가라앉을 수 있겠습니까? 일부 친윤계와 당권주자들은 여전히 '조기전대론'을 지지 중인데요.<br /><br /> 입장이 궁금했던 장제원 의원은 의총에 불참했고, 김기현·안철수 의원은 참석은 했지만, 특별한 발언을 하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졌는데요. 이들의 행보는 어떻게 보고 계십니까?<br /><br /> 김용태 위원의 말은 대선 전인 작년 연말부터 이준석 대표를 궐위할 것이라는 내용의 '지라시'가 돌았다는 겁니다. 이유는 공천권 때문이라는 건데, 이런 김 위원의 발언 어떻게 들으셨어요?<br /><br /> 의총의 '권성동 직무대행 체제' 추인에도 이준석 대표, 가시적인 움직임은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. 다만 자신의 SNS에 "당원가입하기 좋은 월요일"이라며 당원 가입을 독려하는 모습을 보였는데요. 이준석 대표, 어떤 속내일까요? 향후 이 대표의 대응을 예상해본다면요?<br /><br /> 윤대통령이 출근길 약식 기자회견, 이른바 '도어스테핑'을 중단하자 민주당이 비판에 나섰습니다. 대통령실의 "코로나19 예방을 위한 도어스테핑 잠정 중단은 변명"이라며 "실언으로 지지율이 하락하자 소통을 멈춘 것"이라고 주장했는데요. '도어스테핑' 중단 배경, 두 분은 어떻게 분석하세요?<br /><br /> 윤 대통령의 그간 도어스테핑 주요 발언 모아봤는데요. 대통령실과 윤대통령은 '국민과의 소통'을 위한 것이라고 했지만 일각에서는 대통령의 '일방적 소통'이었다는 주장도 펴고 있어요?<br /><br /> 대통령실은 이번 중단이 '잠정 중단'이라는 입장입니다. 그렇다면 언젠가 다시 재개할 거란 건데, 논란이 컸던 도어스테핑, 재개하는 게 맞다고 보세요?<br /><br /> 윤 대통령이 '도어스테핑'을 전격 중단한 데는 하락한 지지율 영향이 있다는 게 민주당의 주장입니다. 어제 나온 두 여론조사 기관의 조사 결과를 보면 취임 두 달 만에 국정 수행 지지율이 30%대까지 떨어졌습니다. 지지율 하락의 가장 큰 원인은 뭘까요?<br /><br /> 무엇보다 윤 대통령과 여당 입장에서 우려가 되는 부분은 윤 대통령의 지지기반인 보수층이 돌아서고 있다는 걸 텐데요. 보수 지지층의 부정 평가가 급격하게 상승했고, 2주 전과 비교하면 보수성향이 강한 60대 이상, 또 TK·부울경 지역의 부정평가가 눈에 띄게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거든요?<br /><br /> 거기에 또 눈에 띄는 부분이 바로 20대의 지지율 하락입니다. 무려 44.2%에서 68.7%대까지...'이준석 대표 징계 결정' 등 여권 내 사정과도 연관이 있을까요?<br /><br /> 민주당은 30%대로 떨어진 지지율에 대해 "국민이 엄중한 경고장을 내민 것"이라며 비판하기도 했는데요. 과연 어디까지 지지율이 하락할까요? 떨어진 지지율의 회복 방안은 있다고 보세요?<br /><br /> 일부 여론조사에선 민주당의 지지율도 국민의힘을 앞섰는데요. 이 틈을 타 '강한 야당, 선명한 야당'을 주장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습니다. 그동안 선거 참패 로 '반성'이 우선이었던 민주당, 반전의 기회가 될 수 있을까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